Tool 썸네일형 리스트형 [Colaboratory] 코랩으로 python 환경 구성하기 딥러닝, 머신러닝 등으로 Python을 많이 활용하게 됩니다. Python 환경을 로컬에 구성해도 좋지만, 여기서는 Google에서 제공하는 Colaboratory (일명 Colab, 코랩)을 소개하겠습니다. colab.research.google.com Google Colaboratory colab.research.google.com 구글 코랩은 무료로 제공되며, Python 에서 많이 사용되는 Jupyter Notebook의 클라우드 버전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무료로 제공되는 환경은 노트북에 대한 최대 12시간 세션 유지 약 12 GB 메모리 약 100 GB 디스크 Nvidia K80, T4, P4, P100 등의 GPU 제공 (선택불가) 입니다. 작성된 내용은 Google Drive 또는 Gith.. 더보기 [VuePress] 한글Header 자소분리현상 수정 번역을 위해 VuePress를 활용하여 구성중 한글이 normalize되어 링크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했습니다. 관련되어 수정방법을 공유합니다. 환경 vuepress : 1.8.4 현상 #을 활용한 헤더에 한글이 들어갈 경우 생성되는 Link가 자소분리되어 링크가 정상동작하지 않게 됩니다. # Compose 목차 # Compose 목차 실제로는 잘 보여도 Notepad++와 같은데에서 확인해보면 자소분리가 되어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원인 config.js 중 markdown.slugify 에서 사용되는 함수에 NKFD (정규형 호환성 분해(Normalization Form Compatibility Decomposition))를 사용하여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vuepress/shared.. 더보기 [Jenkins] pom.xml 정보 불러오기 Jenkins를 활용하여 Maven 빌드를 구성시 아래와 같이 pom.xml에 정의한 version 정보를 읽는 방법입니다. me.oofbird test 1.0.0 Pipeline Utility Steps Pipeline Utility Steps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아주 단순합니다. def VERSION = readMavenPom().getVersion() Maven 명령어 활용 만약 플러그인을 사용하기 어려운 환경일 경우, Maven의 명령을 활용합니다. def VERSION = sh(script: 'mvn help:evaluate -Dexpression=project.version -q -DforceStdout', returnStdout: true) 이렇게 하면 VERSION에 1.0.0 값이 들어가.. 더보기 [Windows10] 외장하드 USB가 계속 연결해지되는 경우 Windows 10을 사용하고 있는데, 외장하드가 정상적인데 이상하게 계속 USB가 연결해지되어 사용을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의 경우 USB 전원 설정 문제로 인하여 발생하였는데, 다음과 같이 해결하였습니다. 전원 관리 옵션 설정 편집 에서 고급 전원 관리 옵션 설정 변경을 클릭하고 USB설정 -> USB 선택적 절전 모드 설정 -> 사용안함 으로 변경하였습니다. 더보기 [Maven] 테스트 생략하기 Maven에서 빌드할 때 테스트 스킵방법 -Dmaven.test.skip=true 옵션을 추가한다. mvn -Dmaven.test.skip=true clean package 더보기 [IntelliJ] Terminal을 Powershell로 변경하기 IntelliJ에 있는 Terminal을 사용하는데 Windows의 경우 기본 cmd.exe로 설정되어있습니다. 만약 PowerShell로 변경하고자 한다면, File > Settings > Tools > Terminal > Shell path 부분에서 PC에 설치된 Powershell 경로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C:\Windows\System32\WindowsPowerShell\v1.0\powershell.exe 입니다. 더보기 [Windows 10] Ubuntu (WSL) 사용하기 Windows 10부터 Ubuntu를 설치하여 하위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라고 부릅니다. Windows 기능 켜기 먼저 "설정 > Windows 기능 켜기/끄기"에 들어갑니다. 그 후,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을 선택합니다. 확인버튼을 클릭하시면 재부팅을 진행하게 될 것 입니다. Linux 배포판 설치 WSL 기능을 켰으면, Microsoft Store에서 관련된 Linux배포판을 설치하면 됩니다. 검색어에 "Linux"를 입력하시면 다음과 같이 "Windows에서 Linux 실행하기"를 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Ubuntu를 선택하고 설치하겠습니다. Ubuntu 실행 시작메뉴에서 "Ubuntu"를 검색하시면 실행할 수.. 더보기 [IntelliJ] 프로젝트 여러개 구성하기 Eclipse에서 IntelliJ를 처음사용할 때 가장 당황했던 점이 사용할 프로젝트는 여러개인데, 로딩이 하나씩만 되는 것 입니다. 구성방식이 조금 달라서 그런데, Eclipse와 비교하면 Eclipse Workspace Project IntelliJ Project Module 로 생각하시면 이해가 쉽게 됩니다. Empty Project 생성하기 Eclipse의 Workspace와 같은 개념으로 Project를 "Empty Project"를 생성합니다. Module 생성 그후 Eclipse의 Project와 같은 개념인 Module을 추가합니다. 해당 메뉴가 안보일 경우에는 "File > Proejct Settings > Modules"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저의 경우에는 Maven 프로젝트를 하기 위..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다음